양원역 교정치과 : 반대로 물리는 치아 이렇게 바뀔 수 있어요!

You are currently viewing 양원역 교정치과 : 반대로 물리는 치아 이렇게 바뀔 수 있어요!

반갑습니다.

글로리 교정치과

김정은입니다.

오늘 사례를 소개하기 전에

반대교합에 대해

간단히 설명을 드릴게요.

우선 입을 다물었을 때 위, 아래턱이

서로 맞물리는 걸 ​‘교합’이라 부릅니다.

맞물리면서 위턱 치아가 하악을 덮을 때

앞면이 1/3 정도 덮히게 되는데요.

출처 : 구글 / 반대교합

반대로 하악 치아가

상악의 1/3 을 넘고 덮이는 걸

‘반대교합’이라 부르고 있습니다.

이 환자는 부정교합인 채로 쭉 지내오다

문득 바꾸고 싶은 마음이 들어

고민 끝에 저를 찾아오셨는데요.

양원역 교정치과 에서 어떻게 바꿨는지

지금부터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
치료 전 검진

“여기가 서로 반대로 물리는 걸

바꾸고 싶어요.”

라는 주소를 말씀하셨는데요.

양원역 교정치과 는 의논을 진행하기 전에

먼저 구강 내 포토를 찍어 확인하고 있습니다.

찍은 사진을 보니 위에 치아 하나가

유독 눈에 띄게 속으로 들어가 있네요.

속을 보니 자리를 잘못 잡아

뒤틀린 채 들어간 모습이 보입니다.

이렇게 위치가 심하게 틀어진 걸

‘총생’이라 부르는데요.

그리고 사진 정면을 보면

여기 아랫니가 거의 보이지 않고 있죠?

이곳은 과개교합이 생긴 것 같아요.

게다가 올바르지 않은 맞물림이

배열에도 영향을 주고 있어요.

정상 곡선형이 아닌,

옆으로 조금씩 틀어진 게 보이고 있는데요.

이런 부정교합, 양원역 교정치과 에서

충분히 정상으로 맞춰드릴 수 있습니다.

치료 계획

그전에 환자의 의사가 우선이겠죠?

어떤 방향으로 진행할 건지

충분히 설명을 드리고 의논한 결과,

하길 바란다고 하셔서


뒤틀린 걸 알맞게 되돌리거나

치우진 배열을 다시 맞추려면

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데요.

치료 중간

브라켓 부착을 완료한 후 모습이에요.

어금니에 붙여둔 파란색은

‘바이트 블럭’ 이라 부르는데요.

상악과 하악 사이를 벌려

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때

사용되고 있습니다.


공간 확보 후 블럭을 제거한 뒤,

배열을 맞추고 있는 사진입니다.

초진 사진과 비교하면

지금은 많이 달라졌죠?

치료 종결

드디어 시간이 흘러

모두 종결됐습니다!

초진 때 모습과 비교하려고

구강 내 포토를 가져왔는데요.

한 번 보시죠!

자, 어떤가요?

우선 맞물릴 때

과하게 덮여 보이지 못했던

하악 앞니가 나왔고요.

배열도 곡선형으로 잘 맞춰졌고,

총생이 일어났던 곳은

알맞은 모양으로 잘 돌아왔어요.

계획한 대로 결과가 잘 나와 다행입니다.


장치를 다 제거한 날

환자께서 거울을 보며

“이런 예쁜 치아를 원하고 있었어요!”

라며 흡족하셨는데

정말 뿌듯했는데요.

브라켓이 접착된 부분이나

사이사이를 잘 관리하고,

꾸준히 검진을 와 주신 덕분에

이렇게 좋은 결실을 본 것 같습니다.


양원역 교정치과 는

치료가 종결됐다고

끝났다는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.

전문의인 제가 환자마다

지속적인 관리를 해 드리고 있는데요.

서투른 곳에서 치료 받으면

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으며,

자칫 잘못하면 계획한 대로 변하지 못해

다시 받아야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

양원역 글로리 교정치과 는

치의학 박사 출신인 제가

늘 섬세하고 꼼꼼하게 치료를 하고 있으니

믿고 맡기셔도 됩니다.

변함없이 환자의 치아를 책임지며

만족하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
관련 문의는 아래 답글을 달아주길 바라며

이만 말 줄일게요.

김정은 원장이었습니다. 감사합니다.